맨위로가기

노 문공 (21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 문공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제21대 군주이다. 기원전 625년에 즉위하여 기원전 609년에 사망했다. 재위 기간 동안 그는 진나라, 제나라, 주나라 등 주변 국가들과 복잡한 외교 관계를 맺었다. 특히 제나라와의 갈등이 잦았으며, 적(狄)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의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609년 사망 - 제 의공
    제 의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군주로, 형을 살해하고 즉위했으나 폭정과 사치로 민심을 잃어 재위 4년 만에 살해당한 폭군이다.
  • 기원전 609년 사망 - 노 민공
    노 민공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군주로, 공위 계승 경쟁 후 옹립되었으나 경부에게 암살당해 짧은 기간 재위했다.
  • 기원전 7세기 출생 - 아이소포스
    아이소포스는 기원전 6세기경 고대 그리스에서 활동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우화 작가이지만, 실존 여부, 출생지, 노예 생활, 웅변술, 징조 해석 능력, 여러 인물과의 교류, 아테네에서의 활동, 사망 경위, 저술 여부, 외모, 아프리카 기원 등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기원전 7세기 출생 - 예레미야
    예레미야는 기원전 7세기 유다 왕국의 예언자로, 예루살렘 멸망과 바빌론 포로를 예언하며 고난을 겪어 "우는 예언자"라고도 불리며 그의 예언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노나라의 군주 - 노 환공
    노 환공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제16대 군주로, 혜공의 아들이며 은공의 섭정 후 즉위하여 18년간 재위했으나 제나라 방문 중 암살당했고, 그의 아들들은 훗날 노나라 권력을 장악한 삼환의 시조가 되었다.
  • 노나라의 군주 - 노 장공
    춘추 시대 노나라의 제16대 군주인 노 장공은 제나라와의 잦은 전쟁과 외교적 활동을 펼쳤으며, 제나라 내전 개입과 제 환공과의 화평을 통해 영토를 회복하기도 했으나, 후계자 선정 실패로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다.
노 문공 (21대)
기본 정보
칭호문공(文公)
희(姬)
이름흥(興)
국가
통치
재위 기간기원전 626년 - 기원전 609년
전임자희공
후임자선공
가족 관계
아버지희공
배우자출강(出姜), 경영(敬嬴)
자녀악(惡)
시(視)
퇴(俀), 선공
숙힐(叔肸)

2. 사적

(내용 없음)

2. 1. 즉위 전

(내용 없음)

2. 2. 즉위 과정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2. 3. 재위 기간

기원전 625년(문공 2년)에는 체제(禘祭)에서 제사 순서를 어기는 일이 있었고,[4] 진나라가 조현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침공해 외교적 결례를 겪기도 했다.[4] 이듬해 진 양공과 직접 맹약을 맺어 관계를 일부 회복했다.[4]

기원전 620년(문공 7년)에는 진 양공 사후 혼란한 틈을 타, 과거 노나라 속국이었던 수구(須句)를 주나라로부터 빼앗아왔다. 같은 해 적(狄)의 침입을 받았다.[4] 기원전 616년(문공 11년)에는 적(狄)의 일파인 수만(鄋瞞)이 침입하자 숙손득신을 보내 이를 격퇴하고 적장 장적교여를 죽였다.[6][7]

기원전 613년(문공 14년)부터는 제나라에서 제 의공이 즉위한 후 노나라 공녀 출신 자숙희를 억류하는 등 갈등이 시작되었다.[7] 기원전 612년(문공 15년) 제나라의 침공을 받았고, 진나라의 개입으로 잠시 해결되는 듯했으나 제 의공은 다시 노나라를 공격했다.[8][7] 이후에도 제나라의 계속된 침공과 압박으로 기원전 611년과 기원전 610년에 걸쳐 굴욕적인 화평과 맹약을 맺어야 했다.[7]

기원전 609년(문공 18년) 봄 2월 정축일에 사망하였고, 아들 이 뒤를 이었다.[7]

2. 3. 1. 체제 문제 (기원전 625년)

문공 2년(기원전 625년)에 체제(禘祭)를 지낼 때, 하보불기(夏父弗忌)의 농간으로 제사 순서에 문제가 생겼다. 이로 인해 문공의 아버지인 희공의 신주를 선대 군주인 민공보다 앞선 자리에 모시는 잘못을 저질렀다.[4]

2. 3. 2. 진나라와의 관계 (기원전 625년 ~ 기원전 624년)

기원전 625년(문공 2년), 문공진나라에 조현(朝見, 제후가 천자를 찾아 뵙는 일)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진나라가 노나라를 공격했다.[4] 이에 문공은 직접 진나라로 향했으나, 진나라는 임금 진 양공 대신 경(卿) 양처보(陽處父)를 보내 문공과 결맹하게 하여 문공에게 외교적 결례를 범했다.[4]

진나라는 노나라에 치욕을 준 것을 염려하여, 이듬해인 기원전 624년(문공 3년)에 문공을 다시 진나라로 불렀다.[4] 이번에는 진 양공이 직접 나서 문공과 맹약을 맺었다.[4]

2. 3. 3. 주나라와의 갈등 (기원전 620년)

문공 7년(기원전 620년), 진 양공 사후 진나라가 잠시 혼란한 틈을 타, 주나라를 공격하였다. 이는 본래 노나라의 속국이었던 수구(須句)를 주나라가 멸망시키고 자국 영토로 편입시킨 것에 대한 대응이었다. 문공은 주나라로부터 수구를 빼앗아 주나라 문공(邾文公)의 망명 온 아들을 그곳에 배치하였다. 같은 해 가을에는 적(狄)의 침입을 받기도 했다.[4]

2. 3. 4. 적의 침입과 격퇴 (기원전 616년)

기원전 616년(문공 11년) 가을, 적(狄)의 일파인 수만(鄋瞞)이 제나라를 공격한 후 노나라로 쳐들어왔다. 문공은 숙손득신에게 군대를 이끌고 적군을 추격하도록 명했다. 겨울 10월 갑오일, 숙손득신은 노나라 영토 내의 함(鹹) 지역에서 적군을 크게 무찔렀다. 이 전투에서 적의 장수 장적교여(長狄僑如)를 사로잡았는데, 숙손득신의 전차 부대(사승, 駟乘) 소속이었던 부보종생(富父終生)이 장적교여를 죽였다. 노나라는 장적교여의 머리를 베어 자구문(子駒門)[5] 아래에 묻었다.

이후에도 수만족의 위협은 계속되었으나 점차 약화되었다. 기원전 607년에는 수만이 다시 제나라를 공격했지만, 제나라는 교여의 동생인 분여(焚如)의 동생 영여(榮如)를 사로잡았다. 또한 위나라는 막내 동생인 간여(簡如)를 사로잡았다. 마침내 기원전 594년, 진(晉)나라가 노(潞)나라를 멸망시키면서 분여를 사로잡음에 따라 수만은 완전히 멸망하였다.[6][7]

2. 3. 5. 제나라와의 갈등 (기원전 613년 ~ 기원전 610년)

기원전 613년(문공 14년), 제나라에서는 제 의공이 자신의 조카인 제군 사를 살해하고 군주 자리에 오르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는 제군 사의 어머니이자 노나라 출신 공녀인 자숙희마저 붙잡아 가두었다. 이에 노나라는 공자 수를 주나라에 파견하여 주나라 왕의 권위로 자숙희의 석방을 요청했다. 주나라는 선백(單伯)을 제나라에 보내 자숙희를 노나라로 돌려보내도록 지시했으나, 제 의공은 오히려 이에 원한을 품고 파견된 선백과 자숙희를 모두 가두어 버리는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이듬해인 기원전 612년(문공 15년), 제 의공은 노나라를 침공했다. 다급해진 노나라는 계손행보를 당시 패권국이던 진나라에 보내 도움을 호소했다.[8] 그해 11월, 진나라가 제후들을 소집하여 제나라를 토벌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위협을 느낀 제 의공은 진나라 군주에게 뇌물을 바쳐 공격을 무마시켰다. 이후 그는 선백을 주나라로, 자숙희를 노나라로 돌려보냈지만, 불과 한 달 뒤인 12월에 다시 노나라의 서쪽 국경을 침범하며 신의 없는 모습을 보였다.

기원전 611년(문공 16년), 노 문공은 병이 들어 계손행보를 보내 제나라에 굴복하는 조건으로 화평을 시도했으나, 제 의공은 이를 거절했다. 문공의 병세가 위중하여 넉 달 동안이나 정사를 돌보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자, 노나라는 결국 동문양중을 보내 제 의공에게 뇌물을 바치고서야 겨우 화평을 맺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굴욕적인 화평에도 불구하고 기원전 610년(문공 17년), 제나라는 또다시 노나라를 침공했다. 결국 노 문공은 그해 6월, 제 의공과 다시 한번 맹약을 맺어야만 했다.[7] 이 일련의 과정은 제 의공의 폭력적인 성향과 변덕스러운 외교 정책, 그리고 그로 인해 노나라가 겪어야 했던 어려움을 잘 보여준다.

2. 3. 6. 사망 (기원전 609년)

문공 18년(기원전 609년) 봄 2월 정축일에 죽었으며, 아들 이 뒤를 이어 즉위했다.[7]

3. 가정

(내용 없음)

3. 1. 부모

3. 2. 배우자

wikitext

구분이름비고자녀
정비애강자악, 공자 시
제2비경영노 선공


3. 3. 자녀

참조

[1] 서적 The Gongyang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A Full Translation Palgrave Macmillan
[2] 서적 Zuo Tradition/Zuozhuan: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3] 문서 春秋左氏伝』文公十八年二月丁丑条による
[4] 문서 《춘추좌씨전》 권8 문공 상
[5] 문서 두예의 주석에 따르면 노나라 외곽의 문이다
[6] 서적 사기 권33 노주공세가제3
[7] 문서 《춘추좌씨전》 권9 문공 하
[8] 서적 사기 권14 12제후연표제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